티스토리 뷰

목차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어떤 선택이 유리할까?"
    세금 신고 시 가장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가 분리과세와 종합과세의 차이입니다. 내가 신고해야 할 소득이 분리과세 대상인지, 종합과세가 더 유리한지를 정확히 알아야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과세 방식의 차이, 적용 대상, 그리고 장단점을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분리과세란?

     

     

    분리과세란 특정 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산하지 않고 별도로 세율을 적용하여 원천징수하는 방식입니다. 즉, 일정한 세율로 세금을 미리 납부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1. 분리과세의 핵심 특징

    • 종합소득세 신고 시 다른 소득과 합산되지 않음
    • 일정한 세율(보통 14%)이 적용되어 절세 효과가 있을 수 있음
    • 원천징수만으로 세금 신고가 끝나는 경우가 많음
    • 소득이 일정 금액 이하일 경우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

     

    1-2. 분리과세 대상 소득 3가지

     

    아래 소득들은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분리과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① 금융소득 (이자·배당소득)

    • 금융소득(이자·배당소득)이 연 2,000만 원 이하이면 분리과세 가능
    • 2,000만 원을 초과하면 종합과세 대상이 됨

    ② 연금소득

    • 사적연금(퇴직연금 등) 소득이 1,200만 원 이하이면 분리과세 가능
    •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은 무조건 종합과세 대상

    ③ 기타 소득 (강연료, 원고료, 인세 등)

    • 연간 기타소득이 300만 원 이하이면 분리과세 선택 가능
    • 300만 원을 초과하면 종합과세 대상

     

    1-3. 분리과세 선택 가능 조건

    • 총수입금액이 2,000만 원 이하인 경우 종합과세 또는 분리과세 선택 가능
    • 원천징수로 세금이 끝나기 때문에 추가 세금 신고가 필요 없음

    📌 관련 내용 더 보기 → 원천징수 개념 알아보기

     

     

     

     

    2. 종합과세란?

    종합과세란 모든 소득을 합산하여 누진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즉, 소득이 많을수록 세율이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2-1. 종합과세의 핵심 특징

    • 모든 소득(근로·사업·이자·배당·연금·기타 소득)을 합산하여 과세
    • 소득이 많을수록 세율(6~45%)이 높아짐
    •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음

     

    2- 2. 종합과세 대상 소득 종류 


    아래 소득들은 무조건 종합과세 대상입니다.

    • 근로소득 (월급, 상여금 등)
    • 사업소득 (자영업, 프리랜서 소득)
    • 연금소득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 이자·배당소득이 2,000만 원 초과
    • 기타 소득이 300만 원 초과

    📌 관련 내용 더 보기 →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3. 종합과세 세율과 분리과세 세율 비교

    분리과세는 14% 고정 세율이지만, 종합과세는 소득이 많을수록 세율이 높아집니다.

     

    과세표준 기본세율
    1,400만 원 이하 6%
    1,400만 원 ~ 5,000만 원 15%
    5,000만 원 ~ 8,800만 원 24%
    8,800만 원 ~ 1억 5천만 원 35%
    1억 5천만 원 ~ 3억 원 38%
    3억 원 ~ 5억 원 40%
    5억 원 ~ 10억 원 42%
    10억 원 초과 45%

     

     

    ✅예제) 소득이 2,000만 원인 경우

    • 분리과세 선택 시: 2,000만 원 × 14% = 280만 원
    • 종합과세 선택 시: (1,400만 원까지 6%) + (600만 원 × 15%) = 174만 원

    👉 소득이 적다면 종합과세가 유리할 수 있음

    📌 관련 내용 더 보기 → 종합소득세 세율표 확인

     

     

     

     

    4.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 장단점 비교

     

    내용 분리과세 종합과세
    세금 계산 방식 일정한 세율(보통 14%) 적용 누진세율(6~45%) 적용
    세금 신고 원천징수로 끝남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세금 부담 고정된 낮은 세율 소득이 많을수록 세율 증가
    절세 효과 고소득자에게 유리 저소득자에게 유리
    세액공제 없음 가능
    적용 대상 금융소득 2,000만 원 이하 등 근로소득, 사업소득,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 등

     

     

     

    5. 결론 – 어떤 것이 유리할까?

     

    5-1. 분리과세가 유리한 경우

    • 금융소득이 2,000만 원 이하인 경우
    • 세금 신고 없이 원천징수로 끝내고 싶은 경우
    • 높은 소득으로 인해 종합과세 시 세율이 높아지는 경우

     

     

    5-2. 종합과세가 유리한 경우

    • 소득이 적어서 누진세율이 낮게 적용되는 경우
    • 세액공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은 경우

    📌 추가적인 정보 확인 → 국세청 세금 계산 공식 안내

    💡 종합과세와 분리과세 중 어떤 것이 유리한지 고민된다면, 세무 전문가와 상담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알아보기